Paganini, Violin Concerto No.1 in D major, Op.6 파가니니 바이올린 협주곡 1번
페이지 정보
작성자 B2 박종세 작성일18-12-08 17:12 조회2,060회 댓글0건관련링크
- https://youtu.be/MenIhT7umeM 1169회 연결
본문
Paganini, Violin Concerto No.1 in D major, Op.6
파가니니 바이올린 협주곡 1번
Niccolò Paganini
1782-1840
Salvatore Accardo, violin
Charles Dutoit, conductor
London Philharmonic Orchestra
Barking Town Hall, London
1975.01
Salvatore Accardo - Paganini, Violin Concerto No.1 in D major, Op.6
살바토레 아카르도(1941~ )는 이탈리아 나폴리 출신으로 1958년 17세의 나이로 제1회 파가니니 국제 콩쿠르에서 우승했습니다. 파가니니의 바이올린 협주곡 6번을 초연하였으며 초절기교를 과시 ‘파가니니의 재래’라는 찬사를 듣고 있습니다._라라와복래
1840년 5월 27일 오후 5시 20분, 파가니니가 니스에서 사망했다. 쉰여덟 살의 나이였는데, 죽기 몇 년 전에도 이미 많은 조짐들이 보였었다. 아무튼 그의 때 이른 죽음은 많은 이들에게 충격을 주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파가니니의 유산은 남아 있었다. 그것은 바로 테크닉 그 자체에 대한 몰입이었다. 만약 그가 존재하지 않았다면, 우리가 알고 있는 클래식 음악의 역사는 다르게 흘러갔을 것이다. 리스트가 그의 연주를 듣고서 자신이 나아가야 할 바를 비로소 이해한 것처럼 수많은 음악가들에게 파가니니는 영감을 던져주었다. 심지어 슈베르트처럼 파가니니와 멀어 보이는 작곡가까지 파가니니의 연주에 깊은 감동을 받았다.
바이올린 한 대로 유럽을 정복하다
도대체 파가니니의 무엇에 그들이 그토록 진하게 감동받았던 것일까. 파가니니는 바이올린이 도달할 수 있는 테크닉의 극한을 보여줬다. 그때까지 누구도 상상하지 못했던 효과들을 바이올린을 통해서 보여줬고 사람들은 자신들의 귀를 의심할 정도였다. 대중의 호기심은 매우 강력했고, 어떤 관객은 파가니니에게 직접 그의 바이올린 속에 무엇이 들어 있는지 물어볼 정도였다.
파가니니가 파우스트처럼 악마에게 자신의 영혼을 팔아넘겼고 그 대가로 마술 같은 바이올린 솜씨를 갖추게 되었다는 이야기도 등장했으며, 지극히 매혹적인 음색의 네 번째 현(G선)의 비밀은 파가니니가 목을 졸라 살해한 애인의 창자였다는 소문도 돌았다. 감옥에 갇혀 있던 파가니니가 바이올린을 연주했고, 이에 감동한 간수가 자신도 모르게 감옥 문을 열어줘서 파가니니의 탈옥을 도와줬다는 믿을 수 없는 이야기도 많은 사람이 믿을 정도였다. ◀파가니니의 연주회를 알리는 포스터. 파가니니의 현란한 연주회는 언제나 성황을 이루었다.
1820년의 베를린 콘서트에서 파가니니의 연주를 들었던 아돌프 막스는 친구에게 다음과 같은 편지를 썼다. “바이올린이 홀로 울려 퍼지며 마치 달콤한 사랑의 고통 속에서 허우적거리듯 절망에 휩싸여 탄식했다. 마치 웃음과 눈물, 호통과 위로, 사랑의 맹세와 배반의 모욕이 뒤죽박죽 뒤섞인 황망한 노파를 눈앞에서 보는 듯하다. 이건 바이올린 연주가 아니었다. 음악이 아니라 마술이었다.” 카를 폰 홀타이는 “파가니니는 사람들의 마음속 가장 깊은 곳에 대고 흐느꼈다. 듣는 이의 가슴과 영혼을 자신의 고통으로 휘감았다. 하나의 현만으로도 모든 이들을 함께 울게 만들었다.”고 묘사했다.
파가니니는 연주회 개런티를 다른 사람들의 곱절 이상으로 받았으나 티켓은 순식간에 매진되었다. 사람들은 파가니니를 열광적으로 좋아하는 사람들과 미치게 증오하는 사람들로 양분되었고, 그들 모두가 파가니니의 자장 안에 있었다. 그로 인해 파가니니가 연주한 악기인 ‘과르네리’도 새롭게 주목받을 수 있었다. 요컨대 파가니니의 등장으로 음악계의 패러다임 자체가 바뀐 것이다.
파가니니 전설의 시작은 제노바였지만 그 완성은 파리였다. 19세기 예술의 수도는 파리였고, 만약 파리에서 성공하지 못한다면 부와 명성을 모두 거머쥘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1831년 3월 9일에 열렸던 파리 데뷔 연주회는 파가니니에게 운명을 건 콘서트였다. 이미 빈, 프라하, 바르샤바, 베를린 등의 도시를 몇 년 동안 거치면서 파가니니에 대한 소문은 많은 사람들에게 전해졌다. 파가니니의 파리 연주회는 즉각 엄청난 반응을 몰고 왔다.
테오필 고티에, 조르주 상드, 알프레드 드 뮈세, 프란츠 리스트, 생트뵈브, 루이지 케루비니, 자코모 마이어베어 등 동시대의 주요한 문화계 인사들이 파가니니의 파리 데뷔를 충격과 경악 속에서 지켜보았다. 그 다음 날 신문에는 “우리 모두는 숨을 죽인 채 귀를 기울였으며, 두근두근 심장이 뛰는 소리조차 귀에 거슬렸다. 그것은 신성하고도 악마적인 열기였다.”는 문구가 쓰일 정도였다. 파가니니는 파리의 대성공 이후 런던으로 진출했다. 1831년 6월 3일, 런던 오페라 극장에서 열린 독주회는 두 배 이상 오른 표 값 때문에 사람들 사이에서 폭동이 일어나기도 했고 그로 인해 원래 예정되어 있던 5월 21일에서 10일 이상 미뤄져서 개최되었다.
파가니니의 열렬한 추종자가 된 벨기에의 바이올리니스트 앙리 비외탕은 “파가니니의 연주는 너무나 압도적이어서 온몸이 얼어붙은 듯 움직일 수 없었고, 나는 숨을 제대로 쉬지도 못했다.”는 말로 그날의 연주회를 증언했다. 또 다른 이는 “이 놀라운 음악가의 출현으로 얼마나 많은 바이올리니스트들이 자살하고픈 유혹에 시달렸을지 상상하기 두렵다.”는 기사를 쓰기도 했다. 런던에서 석 달 동안 서른 번 정도 연주회가 연속으로 있었고 파가니니는 자신이 세상의 중심에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 자신의 말대로 파가니니는 바이올린 한 대로 세상을 정복한 것이다.
사람들은 파가니니가 악마에게 영혼을 팔아넘겼고 그 대가로 귀신같은 바이올린 연주 기교 를 갖추게 되었다고 수군댔다.
테크닉의 불꽃 튀는 향연, 바이올린 협주곡 1번
파가니니가 작곡한 바이올린 협주곡은 6곡 정도 되었으나 그중에 인쇄된 곡은 2곡뿐이다. 그리고 오늘날까지도 가장 자주 연주되는 곡이 바이올린 협주곡 1번이다. 그가 1811년에 작곡한 바이올린 협주곡 1번은 그야말로 테크닉의 불꽃 튀는 향연이며 이탈리아의 벨칸토 오페라 스타일의 서정적이고 달콤한 선율이 풍부하게 흐르고 있다.
1악장: 알레그로 마에스토소
1악장은 베이스 드럼, 심벌즈가 포함된 오케스트라의 서주가 시작되고 기교적인 카덴차가 시작된다. 행진곡 스타일의 리듬은 장대하게 울려 펴진다. 아르페지오, 3중ㆍ4중 스톱 등이 난무하고 스타카토로 된 중복3도가 등장한다. 병행8도나 병행10도의 악구는 파가니니가 즐겨 사용한 것들이며, 비정상적인 스코르다투라(조율 방법)를 통해서 새로운 돌파구를 모색했다.
2악장: 아다지오 에스프레시보
2악장은 서정적이며 오페라의 벨칸토 스타일의 선율이 흐른다. 대단히 풍부하고 다채로운 감정이 흘러넘치고 부드러운 선율 속에서 서정적인 감정을 고양시킨다.
3악장: 론도. 알레그로 스피리토소
3악장의 론도는 스타카토 주법이 강한 인상을 남기며, 리코세처럼 지극히 화려한 주법을 통해 비등점을 향해 끓어오르는 뜨거움을 표현한다.
Paganini, Violin Concerto No.1 in D major, Op.6
Hilary Hahn, violin
Eiji Oue, conductor
Swedish Radio Symphony Orchestra
Berwaldhallen, Stockholm
2005.10
추천음반
1. 우선 유진 오먼디가 지휘하는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와 함께 협연한 지노 프란체스카티(Sony)를 언급해야겠다. 이 녹음은 수십 년 동안 레퍼런스가 될 정도로 인기가 있었던 음반으로 프란체스카티의 테크닉이 지금 기준으로는 조금 떨어질지 모르겠지만 대단히 훌륭한 연주이다. 음색의 호소력이란 측면에서 프란체스카티는 우리 시대에도 여전히 독보적이다.
2. 마이클 래빈(EMI)이 유진 구센스/필하모니아와 협연한 연주도 충분히 주목할 만한 연주인데, 동시대 최고의 테크니션으로 이름을 날리던 래빈의 진면목을 느낄 수 있다.
3. 살바토레 아카르도(DG)가 샤를 뒤투아/런던 필과 협연한 음반은 1970년대에 등장한 그 즉시 파가니니 협주곡 1번의 새로운 기준이 되었다. 현대적인 테크닉으로 무장한 아카르도는 마치 저격수처럼 정밀하게 테크닉을 구사하고 있다. 이 음반으로 아카르도는 ‘파가니니의 재래’라는 평을 들었을 정도로 최상급의 파가니니 음반이다.
4. 마시모 콰르타(Dynamic)가 카를로 펠리체 디 제노바 오케스트라와 협연한 앨범은 파가니니가 원래 지정한 E플랫장조로 연주한 보기 드문 앨범이다(대부분의 앨범들은 D장조로 연주한다). 파가니니가 생각한 협주곡의 원형이 어떤 모습이었는지 짐작할 수 있게 해주는 음반으로 콰르타는 이 앨범으로 파가니니 스페셜리스트로 자리매김 되었다.
글 김효진 (음악 칼럼니스트) 클래식 음악 전문지 <스트라드>, <콰이어 & 오르간>, <코다> 등을 거쳐 현재 클래식 음반 잡지 <라 뮤지카>의 편집장으로 재직 중이다.
출처 : 네이버캐스트>주제 전체>문화예술>음악>기악합주>협주곡 2010.08.07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66&contents_id=3263
파가니니 바이올린 협주곡 1번
Niccolò Paganini
1782-1840
Salvatore Accardo, violin
Charles Dutoit, conductor
London Philharmonic Orchestra
Barking Town Hall, London
1975.01
Salvatore Accardo - Paganini, Violin Concerto No.1 in D major, Op.6
살바토레 아카르도(1941~ )는 이탈리아 나폴리 출신으로 1958년 17세의 나이로 제1회 파가니니 국제 콩쿠르에서 우승했습니다. 파가니니의 바이올린 협주곡 6번을 초연하였으며 초절기교를 과시 ‘파가니니의 재래’라는 찬사를 듣고 있습니다._라라와복래
1840년 5월 27일 오후 5시 20분, 파가니니가 니스에서 사망했다. 쉰여덟 살의 나이였는데, 죽기 몇 년 전에도 이미 많은 조짐들이 보였었다. 아무튼 그의 때 이른 죽음은 많은 이들에게 충격을 주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파가니니의 유산은 남아 있었다. 그것은 바로 테크닉 그 자체에 대한 몰입이었다. 만약 그가 존재하지 않았다면, 우리가 알고 있는 클래식 음악의 역사는 다르게 흘러갔을 것이다. 리스트가 그의 연주를 듣고서 자신이 나아가야 할 바를 비로소 이해한 것처럼 수많은 음악가들에게 파가니니는 영감을 던져주었다. 심지어 슈베르트처럼 파가니니와 멀어 보이는 작곡가까지 파가니니의 연주에 깊은 감동을 받았다.
바이올린 한 대로 유럽을 정복하다
도대체 파가니니의 무엇에 그들이 그토록 진하게 감동받았던 것일까. 파가니니는 바이올린이 도달할 수 있는 테크닉의 극한을 보여줬다. 그때까지 누구도 상상하지 못했던 효과들을 바이올린을 통해서 보여줬고 사람들은 자신들의 귀를 의심할 정도였다. 대중의 호기심은 매우 강력했고, 어떤 관객은 파가니니에게 직접 그의 바이올린 속에 무엇이 들어 있는지 물어볼 정도였다.
파가니니가 파우스트처럼 악마에게 자신의 영혼을 팔아넘겼고 그 대가로 마술 같은 바이올린 솜씨를 갖추게 되었다는 이야기도 등장했으며, 지극히 매혹적인 음색의 네 번째 현(G선)의 비밀은 파가니니가 목을 졸라 살해한 애인의 창자였다는 소문도 돌았다. 감옥에 갇혀 있던 파가니니가 바이올린을 연주했고, 이에 감동한 간수가 자신도 모르게 감옥 문을 열어줘서 파가니니의 탈옥을 도와줬다는 믿을 수 없는 이야기도 많은 사람이 믿을 정도였다. ◀파가니니의 연주회를 알리는 포스터. 파가니니의 현란한 연주회는 언제나 성황을 이루었다.
1820년의 베를린 콘서트에서 파가니니의 연주를 들었던 아돌프 막스는 친구에게 다음과 같은 편지를 썼다. “바이올린이 홀로 울려 퍼지며 마치 달콤한 사랑의 고통 속에서 허우적거리듯 절망에 휩싸여 탄식했다. 마치 웃음과 눈물, 호통과 위로, 사랑의 맹세와 배반의 모욕이 뒤죽박죽 뒤섞인 황망한 노파를 눈앞에서 보는 듯하다. 이건 바이올린 연주가 아니었다. 음악이 아니라 마술이었다.” 카를 폰 홀타이는 “파가니니는 사람들의 마음속 가장 깊은 곳에 대고 흐느꼈다. 듣는 이의 가슴과 영혼을 자신의 고통으로 휘감았다. 하나의 현만으로도 모든 이들을 함께 울게 만들었다.”고 묘사했다.
파가니니는 연주회 개런티를 다른 사람들의 곱절 이상으로 받았으나 티켓은 순식간에 매진되었다. 사람들은 파가니니를 열광적으로 좋아하는 사람들과 미치게 증오하는 사람들로 양분되었고, 그들 모두가 파가니니의 자장 안에 있었다. 그로 인해 파가니니가 연주한 악기인 ‘과르네리’도 새롭게 주목받을 수 있었다. 요컨대 파가니니의 등장으로 음악계의 패러다임 자체가 바뀐 것이다.
파가니니 전설의 시작은 제노바였지만 그 완성은 파리였다. 19세기 예술의 수도는 파리였고, 만약 파리에서 성공하지 못한다면 부와 명성을 모두 거머쥘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1831년 3월 9일에 열렸던 파리 데뷔 연주회는 파가니니에게 운명을 건 콘서트였다. 이미 빈, 프라하, 바르샤바, 베를린 등의 도시를 몇 년 동안 거치면서 파가니니에 대한 소문은 많은 사람들에게 전해졌다. 파가니니의 파리 연주회는 즉각 엄청난 반응을 몰고 왔다.
테오필 고티에, 조르주 상드, 알프레드 드 뮈세, 프란츠 리스트, 생트뵈브, 루이지 케루비니, 자코모 마이어베어 등 동시대의 주요한 문화계 인사들이 파가니니의 파리 데뷔를 충격과 경악 속에서 지켜보았다. 그 다음 날 신문에는 “우리 모두는 숨을 죽인 채 귀를 기울였으며, 두근두근 심장이 뛰는 소리조차 귀에 거슬렸다. 그것은 신성하고도 악마적인 열기였다.”는 문구가 쓰일 정도였다. 파가니니는 파리의 대성공 이후 런던으로 진출했다. 1831년 6월 3일, 런던 오페라 극장에서 열린 독주회는 두 배 이상 오른 표 값 때문에 사람들 사이에서 폭동이 일어나기도 했고 그로 인해 원래 예정되어 있던 5월 21일에서 10일 이상 미뤄져서 개최되었다.
파가니니의 열렬한 추종자가 된 벨기에의 바이올리니스트 앙리 비외탕은 “파가니니의 연주는 너무나 압도적이어서 온몸이 얼어붙은 듯 움직일 수 없었고, 나는 숨을 제대로 쉬지도 못했다.”는 말로 그날의 연주회를 증언했다. 또 다른 이는 “이 놀라운 음악가의 출현으로 얼마나 많은 바이올리니스트들이 자살하고픈 유혹에 시달렸을지 상상하기 두렵다.”는 기사를 쓰기도 했다. 런던에서 석 달 동안 서른 번 정도 연주회가 연속으로 있었고 파가니니는 자신이 세상의 중심에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 자신의 말대로 파가니니는 바이올린 한 대로 세상을 정복한 것이다.
사람들은 파가니니가 악마에게 영혼을 팔아넘겼고 그 대가로 귀신같은 바이올린 연주 기교 를 갖추게 되었다고 수군댔다.
테크닉의 불꽃 튀는 향연, 바이올린 협주곡 1번
파가니니가 작곡한 바이올린 협주곡은 6곡 정도 되었으나 그중에 인쇄된 곡은 2곡뿐이다. 그리고 오늘날까지도 가장 자주 연주되는 곡이 바이올린 협주곡 1번이다. 그가 1811년에 작곡한 바이올린 협주곡 1번은 그야말로 테크닉의 불꽃 튀는 향연이며 이탈리아의 벨칸토 오페라 스타일의 서정적이고 달콤한 선율이 풍부하게 흐르고 있다.
1악장: 알레그로 마에스토소
1악장은 베이스 드럼, 심벌즈가 포함된 오케스트라의 서주가 시작되고 기교적인 카덴차가 시작된다. 행진곡 스타일의 리듬은 장대하게 울려 펴진다. 아르페지오, 3중ㆍ4중 스톱 등이 난무하고 스타카토로 된 중복3도가 등장한다. 병행8도나 병행10도의 악구는 파가니니가 즐겨 사용한 것들이며, 비정상적인 스코르다투라(조율 방법)를 통해서 새로운 돌파구를 모색했다.
2악장: 아다지오 에스프레시보
2악장은 서정적이며 오페라의 벨칸토 스타일의 선율이 흐른다. 대단히 풍부하고 다채로운 감정이 흘러넘치고 부드러운 선율 속에서 서정적인 감정을 고양시킨다.
3악장: 론도. 알레그로 스피리토소
3악장의 론도는 스타카토 주법이 강한 인상을 남기며, 리코세처럼 지극히 화려한 주법을 통해 비등점을 향해 끓어오르는 뜨거움을 표현한다.
Paganini, Violin Concerto No.1 in D major, Op.6
Hilary Hahn, violin
Eiji Oue, conductor
Swedish Radio Symphony Orchestra
Berwaldhallen, Stockholm
2005.10
추천음반
1. 우선 유진 오먼디가 지휘하는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와 함께 협연한 지노 프란체스카티(Sony)를 언급해야겠다. 이 녹음은 수십 년 동안 레퍼런스가 될 정도로 인기가 있었던 음반으로 프란체스카티의 테크닉이 지금 기준으로는 조금 떨어질지 모르겠지만 대단히 훌륭한 연주이다. 음색의 호소력이란 측면에서 프란체스카티는 우리 시대에도 여전히 독보적이다.
2. 마이클 래빈(EMI)이 유진 구센스/필하모니아와 협연한 연주도 충분히 주목할 만한 연주인데, 동시대 최고의 테크니션으로 이름을 날리던 래빈의 진면목을 느낄 수 있다.
3. 살바토레 아카르도(DG)가 샤를 뒤투아/런던 필과 협연한 음반은 1970년대에 등장한 그 즉시 파가니니 협주곡 1번의 새로운 기준이 되었다. 현대적인 테크닉으로 무장한 아카르도는 마치 저격수처럼 정밀하게 테크닉을 구사하고 있다. 이 음반으로 아카르도는 ‘파가니니의 재래’라는 평을 들었을 정도로 최상급의 파가니니 음반이다.
4. 마시모 콰르타(Dynamic)가 카를로 펠리체 디 제노바 오케스트라와 협연한 앨범은 파가니니가 원래 지정한 E플랫장조로 연주한 보기 드문 앨범이다(대부분의 앨범들은 D장조로 연주한다). 파가니니가 생각한 협주곡의 원형이 어떤 모습이었는지 짐작할 수 있게 해주는 음반으로 콰르타는 이 앨범으로 파가니니 스페셜리스트로 자리매김 되었다.
글 김효진 (음악 칼럼니스트) 클래식 음악 전문지 <스트라드>, <콰이어 & 오르간>, <코다> 등을 거쳐 현재 클래식 음반 잡지 <라 뮤지카>의 편집장으로 재직 중이다.
출처 : 네이버캐스트>주제 전체>문화예술>음악>기악합주>협주곡 2010.08.07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66&contents_id=326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